목록UE5_Tutorial1 (11)
그냥 게임개발자

이번 강의 부터는 인프런 루키스 강의를 보고 작성한 글인점을 알려드립니다. 1. UE_LOG 2. Debugging 1. UE_LOG UE_LOG는 포맷된 메시지를 로그 파일에 기록하는 매크로 UE_LOG(카테고리, 로깅수준, 로그 포맷) ex) UE_LOG(LogTemp, Warning, TEXT("텍스트 테스트 : %d"), 3); 카테고리 - 어떤 카테고리에서 로그가 발생했는지 알려줄 수 있는 정보, 언리얼 엔진에서는 카테고리를 90개 이상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는데 카테고리를 잘 분류해서 넣어준다면 로그 정보가 상세해질 수 있음 커스텀 카테고리 엔진에서 제공하는 카테고리 이외에 직접 만들어서 사용 가능 프로젝트명.h파일에 가서 DECLARE_LOG_CATEGORY_EXTERN(, Log, All); ..

https://sudoju.tistory.com/53에서 Visual Studio 연동이랑 C++ 클래스를 만들어보았다. [UE5] - 1장 Visual Studio 연동 및 오류 해결, C++ 클래스 생성 언리얼 엔진 5.3 버전을 설치한 후 UE5 문서에 언리얼 엔진용 Visual Studio 구성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5.3은 무조건 VS2022버전이어야 한다. VS 2019버전에선 .Net 6.0을 지원하지 않아서라고 한다. 사실 나 sudoju.tistory.com 본 글은 https://dev.epicgames.com/community/learning/tutorials/RBVX/unreal-engine-ue5-beginners-c-tutorial에서 보고 쓴 글이니 참고 바랍니다. 이제 본격적..

언리얼 엔진 5.3 버전을 설치한 후 UE5 문서에 언리얼 엔진용 Visual Studio 구성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5.3은 무조건 VS2022버전이어야 한다. VS 2019버전에선 .Net 6.0을 지원하지 않아서라고 한다. 사실 나는 VS2019상태에서 언리얼 프로젝트를 바로 생성해보았는데 웬걸... 바로 오류가 뜨더라... 스샷은 못찍었는데 무슨 17.4 어쩌구저쩌구 뜨던데 자세히 읽어보니 'VS2022깔고 최신으로 업데이트 해' 라는 소리였다. 그래서 VS2022설치할 때 사전에 필수로 다운받아야 할 요소들이 많다. 이것을 다 체크한 후에 오른쪽 세부사항에 이것도 다 체크해서 설치하자 (필자는 Windows 10 SDK 다 설치하는 줄 알았다 그냥 최신버전 다운받으면 된다.) 설치가 다 되었으면..